야권대선후보 SWAT분석 : 김경수, 김동연, 김부겸, 김두관
김경수 전 경남지사
강점 (Strengths)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과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으로서의 강력한 정치적 위상을 가지고 있다. 경남지사 선거에서 보수 정당의 아성을 깨고 당선된 경험은 잠재적 확장력을 보여주고 남는다. 또한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 역임 등 풍부한 정치, 행정 경험을 가지고 있다. 민주당 내부에서 오랫동안 '잠룡'으로 평가 받아왔다.
약점 (Weaknesses)
'드루킹 댓글조작사건' 연루로 인한 대국민적 이미지 손상이 있으며, 징역형 선고 및 도지사 직무 정지 경험은 뼈아픈 부정적 요소이다. 온건한 이미지는 정치적 야심 혹은 권력의지가 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회 (Opportunities)
최근 민주당 복당 승인으로 대선후보 경선 참여를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민주당의 약세 지역인 PK를 중심으로 확장력을 보여주고, 노무현과 문재인 전 대통령과의 인연으로 친노, 친문 세력의 결집을 만들 수 있다면 상당한 위력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젊은 정치인으로서 새로운 리더십에 대한 기대와 가능성도 갖고 있다.
위협 (Threats)
과거 댓글 조작 사건으로 인한 부정적 이미지와 민주당 내 다른 잠재적 대선 후보들과의 경쟁도 쉽지않은 허들이다. 또한 보수 진영의 공세도 위협요소 중에 하나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강점 (Strengths)
김동연 지사는 다양한 경력으로 경제부총리, 기획재정부 장관, 아주대학교 총장 등 폭넓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당파성이 옅고 혁신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유권자들에게 신선하게 다가갈 수 있다. 흙수저 출신으로 무허가 판잣집, 천막집 소년 출신으로 자수성가한 배경은 서민들에게 공감을 줄 수 있다.
약점 (Weaknesses)
짧은 정치 경력으로 당내 기반이 절대적으로 취약하다. 또한 경기도가 비명 세력의 결집처로 당 주류와 대립각을 세우는 것이 유리한 전략인지 의심이 된다. 당내 낮은 지명도 역시 당내 경선에서 힘을 쓸 수 있을지 의문이다.
기회 (Opportunities)
‘어대명’ 체제의 변화를 원하는 요구가 상승할 경우 대안 주자로 떠 오를 수 있다. 경기도지사로서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전국적 지지로 확대할 기회가 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은 김동연 지사가 지사직을 유지하며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위협 (Threats)
대선 후보로 뛸 경우 경기 도정에 공백이 생길 수 있어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미 민주당은 ‘어대명’으로 이재명 대표의 대세론이 장악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도전의 방식에 따라 향후 정치적 명암도 갈릴 수 있다는 평가다.
김부겸 전 총리
강점 (Strengths)
4선 국회의원과 국무총리 경험으로 풍부한 정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민주당 정치인 중 대구 출신으로 중도보수 성향에 소구력을 가지고 있다. 특유의 친화력과 부지런함으로 돋보이는 화합형 리더십이 강점이다.
약점 (Weaknesses)
과거 한나라당 입당 경력으로 인한 '비주류' 또는 '경계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당내 리더십에 한계를 보여주었다. 당내 세력의 취약함이 최고 약점이라 할 수 있다.
기회 (Opportunities)
조기 대선에서 비명계 대표 주자로서 입지를 세울 수 있으며, 개헌 의제에 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다른 주자와 차별화되는 전략을 보여 줄 수 있다. 내란 사태 이후 분열 양상에서 국정 안정과 헌정 질서 회복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잘 반응 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
위협 (Threats)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한 민주당 내 주류 세력과의 경쟁에 한계이 있다. 또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다른 잠재적 대선 후보들과의 경쟁도 쉽지 않은 형세이다. 조기 대선이라는 비상 시기에 맞는 리더십인지 당원과 국민들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김두관 전 의원
강점 (Strengths)
남해군수, 행정자치부 장관, 경상남도지사, 국회의원 등 풍부한 정치경험과 '리틀 노무현'으로 불리며 진보 진영에서 정치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에 대한 강한 의지와 경험은 민주 지도자로서 강점이다.
약점 (Weaknesses)
2012년 대선 경선에서 문재인 후보에 대한 과도한 공세로 적지 않은 이미지 손상을 얻었다. 특히 경남도지사 중도 사퇴는 지금도 지도자로서 리더십에 큰 상처로 남아있다. 정치 비전의 폭이 좁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회 (Opportunities)
자치 분권과 균형 발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하고, 풀뿌리 민주주의에 대한 경험은 다른 주자와 가장 차별화된 리더십으로 부각될 수 있다.
위협 (Threats)
잦은 출마와 실패를 거듭하면서, 그동안의 경험과 명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부산경남에서 확고한 지지 기반을 갖지 못하고, 김경수 전 지사 등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형국이다. 과거 다소 과격한 언행으로 리더십이 평가절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