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이야기

"예술 창업을 꿈꾸는 당돌한 아티스트"

세널리 2019. 7. 26. 14:52
728x90
반응형

[강릉의 창의적인 젊은 인재를 만나다①]

<편집자 주> 강릉뉴스는 강릉의 청년창업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강릉의 창의적인 젊은 인재를 만나다’를 기획기사로 내보냅니다. 강릉은 고령화율이 19.4%에 달할 정도로 늙은 도시가 되었습니다. 저출산의 영향과 젊은이들의 타 지역으로 유출이 계속 되면서 지역경제와 사회문화는 생기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강릉은 재생이 필요합니다. 원동력은 청년들입니다. 청년들이 강릉에 정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과연 강릉에 살 수 있을까? 그 꿈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오늘의 강릉 청년들을 만나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중문과 친구, 김시현(25세)이에요. 현재 강릉원주대학교에서 중국어를 배우며, 동시에 예술 활동을 하고 있어요. 저의 작품세계는 객체에 대한 발견, 느낌, 경험에서 출발해요. 저의 그림은 모두 저의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어요.”

그를 소개하는 문구다. 위 문구를 찬찬히 뜯어보면, 그에게 예술은 누구나 할 수 있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과 색채를 빌려 자기 이야기를 전달하는 소통 활동 같은 것이다.

그의 그림은 독특하고 개성적이고 뭔지 모를 감정과 느낌을 전달하고 있다. 그림이 뭔가 말하고 있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한마디로 소구력이 있는 그림이다. 추상표현주의에 반기를 든 미니멀리즘의 그 어디쯤에서 가지를 치고 나온, 디자이너블 작품처럼 보인다. 그의 작품을 자주 구매하는 구매자 중 하나는 그의 그림을 보고 ‘그림책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전문적인 그림 훈련을 받은 적도 없으며, 전업작가 코스를 밟은 적도 없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림을 그리고 그것을 팔아 돈을 벌고 있다. 그리고 예술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청년 창업에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 속에서 덩달아 ‘나도 한번’을 외치며 이왕이면 예술 활동으로 창업을 해보자는 생각으로 뛰어 들었다. 한마디로 겁 없는 젊음이다.

그가 예술 창업을 한 동기는 무엇일까? 그가 처음 예술을 예술품으로써 진지하게 바라본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었다.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강릉 녹색체험센터에서 열린 강원 국제비엔날레를 관람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처음 보는 대규모 미술전시에서 작품들을 보고 공감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왜 사람들이 그 작품들을 보고 예술이라고 치켜세우는지 도통 이해하기 어려웠다. 처음에는 반발심에서 시작된 의문은 곧 ‘예술이란 무엇이고, 무엇을 예술이라고 부르는가’라는 호기심으로 바뀌었다. 그때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그림에 빠져들었다.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은 지난 해 9월부터라고 한다. 그리고 자신이 그린 그림을 세상에 내놓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불과 2개월 전이었다.

2개월 전 어느 날 그는 자신의 그림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했다. 그래서 별 의도 없이 밴드에 장난 삼아 그림 한 점을 올렸다. 그랬더니 올린 지 5분도 채 되지 않아 그림을 사겠다는 주문이 들어왔다. 그로서는 놀라운 경험이었고, 그게 계기가 되어 지금까지 올 수 있었다.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낯선 타인이 자신의 그림을 좋아하며 선뜻 지불까지 한다는 게 그는 놀라웠다. 다른 수 백 마디의 격려의 말보다 낯선 타인의 구매가 그에겐 터닝포인트였다.

중국어를 배우는 학생이 어느 날 갑자기 그림을 그린다고 했을 때 주위에서는 어떤 반응이었을까?

“중문과를 다녀도 예술을 할 수 있다는, 도전정신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처음에는 주위에서 특히 부모님이 반대가 심했죠. 공무원 시험준비를 하거나 취직 준비를 해도 모자랄 판에 예술을 한다고 캔버스만 들여다보고 있으니 제정신이 아니라 생각했던 거죠. 하지만 지금은 응원해주세요.”

현재 중문과 친구, 김시현은 예술 활동에 파트너를 두고 있다. 그 파트너는 이호석(25세)이라는 친구로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다. 예술 창업 동업자로써 이 두 친구의 비전은 무엇일까?

“저희는 한 지역마을을 거점으로 해서 주민들과 함께 공유가치를 만들어가는 활동을 하고 싶어요. 그림을 통해서, 예술 활동을 통해서 공동체가 치유되고, 즐거움을 나눌 수 있는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최근 도시재생 사업에서의 커뮤니티 아트의 역할과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는 대목이다. 커뮤니티 아트란 쉽게 말해 ‘예술 활동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다. 예술을 통해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거나 지역민간 소통을 증진하거나 지역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한다. 주민 중심성, 주민 자치성, 주민 주도성을 잘 살려내는 것이 관건이다. 국내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는 서울 마포구의 성미산마을이다. 성미산 마을극장은 ‘공동체 중심의 커뮤니티 씨어터’를 표방하며 2009년에 문을 열어 현재까지 주민의 일상과 예술의 만남을 시도하고 있다.

이제 강릉에서도 커뮤니티 아트의 문이 활짝 열릴지 모르겠다. 예술 창업을 준비하는 두 친구에 의해 그 문이 열리길 기대해본다.

밴드 : 중문과 친구, 김시현
전화번호: 010-2740-3815
페이스북: 김시현 / 인스타그램 : sihyunkim_art / sihyunkim0914

이성문  moon609kiki@gmail.com

<저작권자 © 강릉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