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널리 · 사설분석
6대 일간지 오늘의 핵심 논지 & 정책 체크리스트

오늘의 쟁점 지도(4축)
#민심/정치지지율·소통
중도실용·경청 전환 요구.
중도실용·경청 전환 요구.
#법치/사법불법 계엄·증거관리
책임 규명과 시스템 신뢰 회복.
책임 규명과 시스템 신뢰 회복.
#통상/경제관세·예측가능성
정부-국회-기업 원팀, 제도 정비.
정부-국회-기업 원팀, 제도 정비.
#노동/산업노란봉투법·AI 전환
현장 비용 최소화·전환지원 가속.
현장 비용 최소화·전환지원 가속.
6개 사설 핵심 요지
교차 비교 매트릭스
프레이밍·타깃·정책요구·약점/보완을 한 표로 정리.
신문 | 프레이밍 | 주요 타깃 | 정책/행위 요구 | 약점·보완 포인트 |
---|---|---|---|---|
한겨레 | 민심·정통성 | 대통령·여권 | 중도실용·경청·민생 우선 | 지지율 하락 원인(연령/지역/이슈) 분해 필요 |
경향 | 법치·책임 | 한덕수 등 | 구속·진상규명 | 구속 요건(도주·증거인멸) 법리 논증 보강 |
한국 | 증거관리 | 검찰 | 감찰·문책 | 타임라인·재발방지 체계 제시 필요 |
조선 | 산업·고용 | 정부·교육·기업 | 리스킬·전직 지원·규제완화 | 경기/사업재편 변수 통제 후 ‘AI 쇼크’ 단정 |
동아 | 통상위기 | 국회·정부 | 입법 숨통·원팀 | 관세→물가·환율 경로 정량 평가 병행 |
중앙 | 노동법 | 여당·국회 | 수정/유예·현장비용 최소화 | 국제비교·사법통계로 부작용 추정치 제시 |
정책 체크리스트(숫자·기한·담당)
- 관세 충격표: 품목·수요탄력성·전가율·환율 민감도(담당: 산업부/기재부, D-14 공개)
- 민생 체감패키지: 물가 민감 품목(에너지·식료) 지원 로드맵(담당: 기재부/산업부, 분기 리포트)
- 리스킬 목표: AI 전환 직군 대상 인원·예산·취업연계 KPI(담당: 고용부/교육부, 반기 점검)
- 노동갈등 지표: 쟁의 건수·손실일수·현장 비용 추정치(담당: 고용부, 월간 공표)
- 사법 신뢰: 증거관리·감찰 프로토콜(담당: 법무부/대검, D-30 내 개정안)
세널리 코멘트
오늘의 공통분모는 ‘정치가 예측가능성을 회복하라’는 요구다. 지지율은 소통과 숫자를, 산업은 전환지원의 속도를 요청한다. 법·제도는 원칙을 유지하되 현장 비용을 줄이는 설계가 관건이다.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