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사설분석 – 6대 일간지로 본 오늘의 쟁점(2025-09-05) 본문

사설분석 — 6대 일간지로 본 오늘의 쟁점
2025-09-05 · 데이터·원문 링크 기반 · 신문/잡지형 서술
법치·성평등·노사관계·수사제도 등 ‘제도 설계’ 이슈가 동시다발로 부상. 오늘은 절차의 신뢰·피해자 보호·사회적 대화의 실효성을 중심축으로 점검합니다.
한겨레 수사·재판 거부하며 ‘책임은 내게 물으라’는 윤석열
핵심 주장
‘모든 책임을 본인에게 묻고 군인들에 대한 수사·재판을 멈추라’는 메시지는 법치의 기본 원리와 충돌한다. 선언적 책임론을 내세우면서 정작 절차 준수에는 불응하는 모순을 비판한다.
주요 논거
- 내란 혐의 재판·특검 조사 불응이 ‘사법 경멸’ 논란을 키움.
- 정치적 메시지로 공권력 절차를 대체할 수 없음.
- 사법개혁 논쟁과 별개로 피고인의 절차 협력은 최소 기준.
시사점
향후 법원·국회 일정 전후로 ‘출석/불출석’이 정국 변수화 가능. 원칙은 ‘절차 우선’이며, 타임라인·법적 근거를 투명 공개해 정치화 리스크를 축소해야 한다.
경향신문 ‘2차 가해’로 번진 혁신당 성비위, 무겁게 규명·성찰하라
핵심 주장
1차 처벌로 끝나지 않고 2차 가해가 재발하는 구조를 끊으려면, 신속·투명 조사와 피해자 보호체계를 제도화해야 한다. 조직문화 개선이 병행돼야 신뢰 회복이 가능하다.
주요 논거
- 지도부·대변인급 파문은 ‘사건 처리’ 자체의 신뢰 붕괴 신호.
- 조직 방어 심리가 금지행위(모욕·비난·신상털이)로 전이.
- 여야 전반의 성인지 규범 공백·교육 부재 노출.
시사점
정당·노조·공공기관 공통의 2차 가해 금지 가이드와 징계 표준안을 신속 제정·적용. 독립 조사채널·신고자 보호프로그램을 상시화하면 비용 대비 효과가 크다.
조선일보 ‘동성애 법으로 보호’ ‘비동의 간음죄’ 정부 입장인가
핵심 주장
여가부 장관 후보자 발언으로 비친 정부 스탠스의 모호성을 해소하라고 촉구한다. 성소수자 보호·성폭력 처벌 강화의 필요성과 함께, 기본권 충돌·집행 가능성을 정밀 검증해야 한다는 입장.
주요 논거
- 포괄적 차별금지법·비동의 간음죄 도입은 표현·종교의 자유와 경합.
- ‘동의’의 정의·입증구조(수사·재판 단계) 설계가 핵심 쟁점.
- 후보자 견해와 정부 공식 입장 구분 필요.
시사점
국회 논의에서 피해자 보호·무고 방지·실무 가능성의 균형을 담보하는 조문 설계가 요구된다. 영향평가·시뮬레이션(기소·유죄율 변화)을 병행해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해야 한다.


중앙일보 보완 수사권 폐지, 국민 피해부터 따져봐야
핵심 주장
수사권 조정의 추가 개편은 피해자 권익·사건 진실 발견에 미칠 영향을 우선 검토해야 한다는 신중론.
주요 논거
- 보완수사권 일괄 폐지는 부실수사·반복송치 가능성.
- 인권보호와 효율성의 균형, 단계적 이행·현장 매뉴얼 필요.
- 책임 주체·핵심 통계(처리 지연·불기소율 등)로 사후 검증.
시사점
제도 변경 1~2분기 동안 피해자 처리지연, 기소/불기소 비율 등 지표를 정례 공개해 ‘체감 품질’을 확인해야 한다.
동아일보 민노총, 26년 만에 사회적 대화… 응분의 책임감 가져야
핵심 주장
복귀 자체는 긍정적이나 ‘대화의 성과’를 지표로 증명해야 한다. 강경 투쟁에서 공적 협의로의 전환은 상징성에 걸맞은 실행이 필요하다.
주요 논거
- 1999년 탈퇴 이후 26년 만의 복귀라는 이정표.
- 정년·주4.5일·임금체계 등 민감 의제의 로드맵 필요.
- 대통령-양대 노총 회동으로 ‘대타협’ 모멘텀 형성.
시사점
‘의제선정→타임라인→성과지표(KPI)’를 합의문에 명시하고 분기별 이행 점검·공개평가를 도입하면 신뢰가 축적된다.
한국일보 ‘김건희 특검, 전관 변호인 접촉 부적절하다
핵심 주장
특검 수사의 공정성에 의심을 부를 ‘전관 변호인 접촉’은 부적절하며, 이해충돌 방지 장치를 명문화해야 한다는 경고.
주요 논거
- 대면 접촉 인정으로 공정성 논란 확산.
- 과거 인연·친분 개입 의혹이 신뢰 훼손.
- 중요 절차(소환 등) 앞두고 투명성 확보 필요.
시사점
접촉 기록 공개, 전관·현직 접촉의 사전승인·사후공개, 변론 창구 일원화 등 ‘행동규범’을 즉시 도입할 필요가 있다.
세널리 인사이트
- 절차의 정치화를 줄이는 가장 빠른 길은 ‘타임라인·근거 공개’다. 오늘 대부분의 쟁점은 절차 신뢰 회복과 직결된다.
- 피해자 중심 설계가 입법·제도 개편의 공통 분모. 2차 가해·수사권 조정 모두 ‘현장 가능성’ 검증이 관건이다.
- 사회적 대화는 상징보다 KPI가 힘. 합의문에 측정 가능한 지표를 박아야 다음 분기 성과가 보인다.
자유 편집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

※ 원문 확인(2025-09-05 08:00 KST): 한겨레·경향·조선·동아는 해당 기사 링크를 반영했습니다. 중앙·한국일보는 일부 접근 제약으로 원문 URL을 확보하는 대로 [원문 링크 추가 예정] 표시를 교체하겠습니다.
'세널리 정치 > 사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중러 정상, 민주노총 사회적 대화, 국정원 정치개입 - 사설분석 – 세널리 2025-09-04 (0) | 2025.09.04 |
---|---|
사설분석 – 2025-08-28 (0) | 2025.08.28 |
한미 정상회담, 윤 어게인, 장동혁 / 사설분석 – 세널리 – 2025-08-27 (0) | 2025.08.27 |
사설분석 | 노란봉투법·한일정상회담·한덕수 영장 (0) | 2025.08.25 |
사설분석 – 2025-08-22 (0)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