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2026 북중미 월드컵 완전 가이드 — 일정·형식·개최도시·예선 흐름과 우승 판도 본문

세널리 스포츠브리핑/해외축구

2026 북중미 월드컵 완전 가이드 — 일정·형식·개최도시·예선 흐름과 우승 판도

세널리 2025. 9. 6. 15:40
반응형
2026 북중미 월드컵 완전 가이드 — 일정·형식·개최도시·예선 흐름과 우승 판도
2026 북중미 월드컵 개최지 콜라주(예시 이미지)

2026 북중미 월드컵 완전 가이드 — 일정·형식·개최도시·예선 흐름과 우승 판도

48개국·104경기, 미·멕·캐 3개국 공동개최의 첫 월드컵. 조 추첨부터 개막·결승까지 핵심 타임라인과 우승후보 4개국의 대표선수를 한눈에 정리.

기간 2026-06-11 ~ 07-19 48개국 104경기 3개국 공동개최(미·멕·캐)

개막전은 6월 11일 멕시코시티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결승은 7월 19일 뉴저지 메트라이프 스타디움에서 열린다. 개최 도시는 총 16개로 미국 11, 캐나다 2, 멕시코 3이 배정되었다. 공식 스케줄과 도시별 배치는 FIFA 발표문 및 개최도시 조직위 공지를 따른다.

개최 도시·스타디움(요약)

세부 매치/라운드 배치는 FIFA 스케줄 PDF를 참조.

국가 도시 주요 스타디움 비고
미국 뉴욕/뉴저지 MetLife Stadium 결승
멕시코 멕시코시티 Estadio Azteca 개막전
미국 댈러스(알링턴) AT&T Stadium 실내/개폐형
미국 LA(잉글우드) SoFi Stadium -
미국 시애틀 Lumen Field -
미국 샌프란시스코 베이 Levi’s Stadium -
미국 휴스턴 NRG Stadium -
미국 마이애미 Hard Rock Stadium -
미국 보스턴 Gillette Stadium -
미국 캔자스시티 GEHA Field at Arrowhead -
미국 애틀랜타 Mercedes-Benz Stadium -
미국 필라델피아 Lincoln Financial Field -
캐나다 토론토 BMO Field -
캐나다 밴쿠버 BC Place -
멕시코 몬테레이 Estadio BBVA -
멕시코 과달라하라 Estadio Akron -

형식 — 48개국·12개 조(각 4팀), 총 104경기

  • 조별리그: 12개 조 × 4팀, 각 팀 3경기.
  • 토너먼트: 조 1·2위 24팀 + 3위 상위 8팀 = 32강부터 결선.
  • 전체 경기 수 104, 대회 기간 39일.

세부 규정 및 변경 사항은 FIFA 공지·매치 스케줄 문서 참조.

예선 개요·타임라인

  • UEFA: 조별 2025-03~11, 플레이오프 2026-03-26 & 03-31. 일정 보기
  • AFC: 2025-06까지 3라운드 종료, 4·5라운드(PO)는 10~11월. 일본·이란·한국·우즈베키스탄·요르단·호주 선착. 현황
  • CONMEBOL: 리그전(직행 6·PO 1), 2025-09 시점 다수 확정.
  • CONCACAF: 3차 예선(12팀/3그룹) 2025-09~11.
  • CAF: 조별 9~10월 분수령, 11월 대륙 PO.
  • OFC: 뉴질랜드 확정.
  • 대륙간 플레이오프: 2026-03 북미 개최, 6팀 중 2팀 본선행(시드 2팀 결승 직행).
스냅샷: 본선 확정(예시) — 개최국(미·멕·캐) + AFC 6 + CONMEBOL 6 + OFC 1 등. 세부 업데이트는 상단/중간 CTA 링크에서 확인.

본선 캘린더

  • 2025-12-05 조 추첨(워싱턴 D.C. 케네디센터)
  • 2026-06-11 개막(멕시코시티·아스테카) ~ 06-27 조별리그
  • 06-28 ~ 07-03 32강 → 07-04 ~ 07-07 16강 → 07-09 ~ 07-11 8강 → 07-14 ~ 07-15 준결
  • 2026-07-19 결승(뉴욕/뉴저지·메트라이프)

도시/라운드 매핑은 FIFA 스케줄 PDF(상단 링크) 참조.

우승후보 4개국 — 대표선수 스냅샷

스페인 모델 완성도

  • 로드리 — 세계 최상급 중원 컨트롤·압박 회피·템포 조절
  • 라민 야말 — 최연소 월드클래스급 윙, 창의·결정력
  • 니코 윌리엄스 — 폭발적 돌파로 전환 속도와 파괴력

프랑스 뎁스·전술 유연성

  • 킬리안 음바페 — 최전성기 피니시·전진성, 전술 구심
  • 앙투안 그리즈만 — 2선 연결, 세트피스·가동 범위
  • 윌리암 살리바 — 수비 조직의 코어로 급부상

아르헨티나 디펜딩 챔피언

  • 리오넬 메시 — 여전히 ‘결정적 순간’의 해법
  •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 결승지향형 9번, 연계·침투
  • 에밀리아노 ‘디부’ 마르티네스 — PK·승부처 세이브

브라질 개인기·측면 파괴력

  • 비니시우스 주니어 — 1:1 탈압박·파이널 써드 생산성
  • 호드리고 — 다재다능한 결승지향형 공격수
  • 브루누 기마랑이스 — 미드 밸런스·볼 회수·전개
짧은 판세 코멘트: 스페인·프랑스는 모델 완성도와 뎁스에서 근소 우위, 아르헨티나·브라질은 토너먼트 해법·개인기로 상위 경쟁.

함께 생각해 볼 질문

Q1. 스페인·프랑스·아르헨티나·브라질 중 우승 1순위는 어디라고 보나? 당신의 근거(전술·선수층·대진운)는? Q2. 한국의 32강 진출 확률을 가장 크게 좌우할 변수(대진·이동거리·기후·세트피스 효율)는 무엇일까? Q3. 동적 가격제 도입 이후 티켓 전략(조기 드로우·도시 번들·‘Follow My Team’)은 어떻게 짜는 게 합리적일까?

참고·출처

  • FIFA 월드컵 26 공식 스케줄 허브: 링크
  • FIFA 매치 스케줄 PDF: 링크
  • 조 추첨(12/5, 워싱턴 D.C., 케네디센터): 링크
  • UEFA 예선 일정: 링크
  • 본선 확정국 현황/가이드: 링크
  • 개막·결승 개최지 공지(조직위): 링크
  • 티켓 동적 가격제: 링크

※ 본 문서는 공개 자료 기반 요약이며, 일부 세부는 개최 측 발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세널리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

자유 편집용 이미지(선택)

맨 위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