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이재명 대통령 'END 구상' – 세널리 국정리포트 2025-09-28 본문

세널리 정치/국정리포트

이재명 대통령 'END 구상' – 세널리 국정리포트 2025-09-28

세널리 2025. 9. 28. 17:13
반응형
END 구상 – 세널리 국정리포트

END 구상: 교류–정상화–비핵화, 그리고 동맹파 vs 자주파 논쟁

유엔총회(9/23) 기조연설 이후 가열된 논의: 무엇이 담겼고 무엇이 쟁점인가 — 통상·안보 함수관계까지 한눈에.

유엔총회 연설 관련 히어로 이미지(교체)

이재명 대통령 유엔총회 기조연설

핵심 요약

무엇
END = Exchange–Normalization–Denuclearization 단계론. 교류→관계 정상화→비핵화.

올-오어나씽 교착의 대안. 저강도 신뢰(CBM)부터 쌓아 협상공간 확대.
어떻게
인도적·비상업 교류 → 제재 예외·완화(조건부·스냅백) → 검증 가능한 비핵화 단계.

I. END 구상의 구성(요지)

1) Exchange(교류)

보건·재난·농업·산림·체육·문화 등 비정치적 교류와 군사적 위험관리(CBM) 병행. (예: 전단·확성기 중단, 우발충돌 방지)

2) Normalization(관계 정상화)

상호 적대행위 중지·존중, 연락선 상시화, 합의 이행 재가동. 경제·사회 협력의 제도화.

3) Denuclearization(비핵화)

단계적·검증 가능한 상응조치 매트릭스와 연동. (동결→모라토리엄→검증→제재 단계 조정)

공식 연설/자료: 대통령실 연설 전문 · 국제보도: Reuters 기사

II. 무엇이 쟁점인가

(A) 단계론의 역학

  • 찬성: 저강도 신뢰 축적→협상공간 확대, 우발충돌 리스크 관리.
  • 비판: 비핵화보다 교류·정상화가 앞서면 제재 레버리지 약화/핵동결 기정사실화 우려.

(B) 북한의 ‘대미 직행’ 선호

서울 경유보다 대미 직통 트랙 선호. 단계적 비핵화엔 구조적 거부감. → 미·중·러·일 다자 보증 + 상응조치 패키지 필요.

(C) 동맹 프레이밍과 억지–완화의 공존

한미·한미일 공조와 충돌하지 않도록 투트랙(억지+교류) 설계·문서화가 관건.

(D) 제재 체계와의 합치성

유엔 대북제재 범위 내 인도적·비상업 교류 → 조건부 제재 예외/완화(스냅백 포함) 법·절차 설계.

(E) 내부 논쟁: ‘동맹파 vs 자주파’ & 정세현 전 장관 문제제기

“대통령 주변에 동맹파가 너무 많다… END에 비핵화까지 넣으면 대통령 끝장낼 일이다.” — [정세현 발언 관련 링크 추가 예정]

정부는 “자주/동맹 이분법이 아닌 실용” 프레임을 강조. 논쟁의 실질 쟁점은 ‘비핵화의 순서·조건·검증을 얼마나 문서로 명료화하느냐’로 수렴.

III. 통상과 안보의 함수관계

함수 모형: 안보 완화(CBM)교류·투자(제재 예외/비상업)제도화(다자 보증)비핵화 단계피드백

입력(안보)
전단·확성기 영구 중단, 연락선 상시화, 훈련·발사 사전통지.
중간(경제)
보건·재난·식량·기후기술 공공재 협력(국제기구·제3국 컨소시엄).
출력(비핵화)
동결→모라토리엄→검증과 상응조치 매트릭스(제재 예외·스냅백 연동).

※ APEC 2025 KOREA(경주, 11월) 기간의 공급망·보건·기후기술 합의와 Exchange 단계 연동 가능.

IV. 시나리오 & 리스크

시나리오북측 태도한미 공조통상 확장성비핵화 진전리스크
S1 관리된 단계 진전제한적 실무접촉공조 유지(조건부 지지)인도적·비상업 확대동결→부분 검증시간 소요·국내 비판
S2 동결·대미치중한국 배제공조 유지교류 제한교착영향력 축소
S3 긴장 재상승도발 재개억지 강화채널 차단역행위기관리 모드
S4 빅딜 재부상대미 급진전역할분담제재 예외 확대검증 병행검증 리스크

V. 실행 로드맵(30·60·180일)

D+30
  • 국제기구 파트너 맵 완성, 인도적 파일럿 2~3건 발주
  • 전단·확성기 중단 제도화(군지침·국내법)
  • 한미 ‘제재 예외’ 가이드라인 초안 협의
D+60
  • 공공재 분야 MOU 3~5건 + 투명성 프레임 공개
  • 사전통지·연락선 재가동 상응 인센티브 패키지
  • 국내 브리핑으로 정치적 비용 관리
D+180
  • APEC 주간: 공급망·보건·기후기술 협력선언
  • 부분 모라토리엄–제재예외 소규모 합의(LoU) 시도
  • 이행 평가보고(국제 파트너 공동)로 투명성 제고

한미정상회담/중국 전승절 북중미 정상

관련 공식/원출처 빠른 이동

참고/출처

*공식/신뢰 가능한 원출처를 우선 연결합니다.

세널리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

자유 편집용 이미지(선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