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시브랜드2

도시브랜드 전략에 대한 단상 모든 지방정부가 자신의 지역을 타 지역과 차별화하며, 지역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한마디로 자신 지역의 정체성과 이야기를 응축하여, 언어와 상징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고도의 작업이다.지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고, 인간과 지역의 상호작용을 하나로 묶어 연대감을 만드는 작업은 쉽지 않다.도시브랜딩은 무수한 실패와 성공 사례들이 있다. 각각 고유한 특성이 있어 비교도 어렵고, 성공 사례도 밴치마킹하기 쉽지 않다. 도시브랜드 전략은 시작부터 실행까지 각 단계마가 장벽에 부딪힐 수 있다.결국 지방정부 그리고 각 구성원들이 가치를 동의하고, 각각의 네트워크들이 그 가치를 공유하며, 행정과 산업을 포함하여 문화와 시민 모든 주체들이 그 가치를 구현하는데 동참할 수 있어야 한다.커피도시 강릉,.. 2024. 11. 27.
동해문화원, 「동해시 문화도시 발전전략 심포지엄」 개최 동해문화원(원장 홍경표)은 동해시가 문화도시로 성장하는 과정과 발전가능성을 전문가들과 함께 진단해 보는 「동해시 문화도시 발전전략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의 정확한 이해와 문화적 도시재생의 필요성을 지역 주민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한림국제대학원 정경훈 교수의 ‘동해시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도시브랜드 제언’ ‣ 동해시청 이달형 도시재생담당의 ‘도시재생 전략과 방향’ ‣ 강원일보 박영창 국장의 ‘삼화지역 산업문화 유산 재생방안’ ‣ 한국문화유산연구센터 김범규 연구관의 ‘적산가옥의 보존과 활용’이란 각각의 주제로 전문가들의 발표가 이어진다. 또한, 김재홍 한국문화유산센터 센터장, 우유선 문화체육관광부 관광두레 PD, 최준석 동해시 도시재생 시민네트.. 2018.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