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 이재명 대통령 국정지지도 65% 취임 후 최고치, NBS 주간여론분석 – 2025년 8월 1주차 본문

세널리 정치/정국분석

🇰🇷 이재명 대통령 국정지지도 65% 취임 후 최고치, NBS 주간여론분석 – 2025년 8월 1주차

세널리 2025. 8. 7. 12:35
반응형

발표일: 2025년 8월 7일 / 조사기관: 전국지표조사(NBS)




① 이재명 대통령 국정지지도 65%… 취임 후 최고치 경신

이번 주 NBS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65%로 집계되었다. 직전 조사 대비 1%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며, 이 지지율은 최근 연이은 정책 행보와 현안 대응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포스코이앤씨 산재 질타, 검찰개혁 재강조, 외교안보 라인 교체 등 굵직한 이슈 대응이 리더십 강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② 정당지지도: 민주당 44%, 국민의힘 16%… 격차 확대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44%로 나타났고, 국민의힘은 16%로 최저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조국혁신당은 3%, 개혁신당은 3%를 기록했다. 민주당은 정청래 신임 당대표 선출 이후 당 조직 재정비 흐름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 권성동 의원의 통일교 쇼핑백 논란, 최고위원 경선 혼선 등으로 악재가 지속되며 지지율이 정체되거나 하락하고 있다.



③ 민생회복 소비쿠폰: 긍정 평가 67%

정부가 추진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에 대해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 응답이 67%에 달했다. 특히 전 지역과 연령대에서 고르게 긍정 평가가 높았으며, 자영업자나 소득 하위층에서 체감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향후 소비쿠폰 확대나 상시화 논의의 여론적 기반이 탄탄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④ 외교정책 방향: ‘균형외교’ 51%, ‘한미동맹 강화’ 42%

대한민국 외교의 지향점에 대해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외교를 해야 한다’는 응답이 51%, ‘한미동맹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은 42%로 나타났다. 최근 한미관세 협상과 미중 사이에서의 실리외교 논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도적 균형외교 노선이 다소 우위를 점한 결과다. 특히 30~40대와 수도권에서 균형외교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⑤ 한미 관세 협상: 긍정 평가 62%

한미 간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은 62%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 평가는 28%에 그쳤다. 이는 미국 측의 농축산물 개방 압박에도 불구하고, 이재명 정부가 국익 중심 협상을 이어간 것에 대한 긍정 평가로 볼 수 있다. 정부의 대외협상력에 대한 신뢰가 여론에 반영된 사례로 해석된다.



⑥ 노란봉투법: 찬반 팽팽, 찬성 42% vs 반대 38%

노동조합법 개정안(일명 노란봉투법)에 대해 찬성은 42%, 반대는 38%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보였다. 진보·중도 진영에서 찬성 여론이 우세하며, 보수층은 반대가 높았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은 법안 통과를 추진 중이나, 여론의 양분 상황에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⑦ 법인세·대주주기준 환원: 찬성 51%, 반대 31%

지난 정부에서 완화된 법인세율 및 대주주 기준을 다시 강화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는 의견이 51%, 반대는 31%로 나타났다. 공정과세 기조, 재정 건전성 논리 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반영된 결과다. 특히 30~50대와 소득 중하위층에서 찬성 비율이 높았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심의위 참조

🧠 세널리 인사이트
• 이재명 대통령은 리더십·정책 효과를 기반으로 안정적 지지세를 굳히는 모습이다.
• 민생경제, 외교협상, 조세정의 등 핵심 이슈에서 여론의 동의가 확인되고 있다.
• 국민의힘은 구조적 리스크와 리더십 부재가 반복되며 반전 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 향후 민생소비쿠폰 확대, 조세입법, 노란봉투법 처리 등이 주요 정국 분수령으로 작용할 것이다.



📊 조사기관 원문 링크
• NBS 공식 홈페이지: http://nbsurvey.kr/
• 리얼미터: https://www.realmeter.net/
• 한국갤럽: https://www.gallup.co.kr/



📚 세널리 콘텐츠 전체 보기 → https://hongji.tistory.com/pages/세널리-콘텐츠-전체-시리즈-안내
💬 세널리와 카카오톡으로 소통하기 → https://open.kakao.com/o/gJf5ppvh


더 생각해 볼 문제

Q1.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지지도 상승이 중도층이나 무당층에서 어떤 흐름을 보이는가?
Q2. 국민의힘의 지지율 하락 요인을 리더십, 사법리스크, 노선 혼선 측면에서 나눠 분석해보면?
Q3. 법인세·대주주 기준 환원 정책이 조세개혁 프레임과 지선 전략에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