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리얼미터 9월 1주차 – 세널리 주간여론분석 – 2025-09-08 본문
리얼미터 9월 1주차 – 세널리 주간여론분석 | 2025-09-08
SEO: 리얼미터, 여론조사, 9월 1주차, 국정 지지도,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주간여론분석

국정수행 지지도 56.0%(+2.4%p)로 3주 연속 상승. 정당 지지도는 여당(더불어민주당) 44.6%(–2.1%p), 야당(국민의힘) 36.2%(+0.1%p). 전주 대비 방향 차로 ‘디커플링’ 현상이 확인됨.
조사주: 2025년 9월 1주차(국정: 9/1~5, n=2,519; 정당: 9/4~5, n=1,005)
① 국정수행 지지도
56.0%
39.2%
4.8%
전주 대비 긍정이 상승하고 부정이 하락하며 격차가 확대되었습니다. 중도·무당층 일부에서 민생·경제 메시지 체감이 개선 요인으로 해석됩니다.
② 정당 지지도
여당 더불어민주당 44.6% (-2.1%p)
야당 국민의힘 36.2% (+0.1%p)
격차 8.4%p (전주 10.6%p → 축소)
개혁신당 4.5%, 조국혁신당 2.7%, 기타 정당 소수, 무당층 8.6%.
표본: n=1,005(9/4~5), ±3.1%p
③ 전주 대비 비교
항목 | 8월 4주차 | 9월 1주차 | 변화 |
---|---|---|---|
국정 긍정 | 53.6% | 56.0% | +2.4%p |
국정 부정 | 42.3% | 39.2% | –3.1%p |
더불어민주당 | 46.7% | 44.6% | –2.1%p |
국민의힘 | 36.1% | 36.2% | +0.1%p |
양당 격차 | 10.6%p | 8.4%p | 축소 |
※ 8월 4주차 수치는 같은 조사 시리즈 기준 공표값.
④ 여론 흐름 분석
1) 국정 지지도: 불균형 반등
정책·민생 어젠다의 가시성이 커지며 긍정이 3주 연속 상승했습니다. 다만 구조적 신뢰의 고착이라기보다 이슈·이벤트 드리븐의 성격이 강해 향후 유지 여부는 변수입니다.
2) 정당 지지도: ‘디커플링’
여당(더불어민주당)은 고점 조정, 야당(국민의힘)은 보합으로, 대통령 지지와 정당 지지 간 온도차가 확대되었습니다. 이 구간에서 대통령 개인 평판 > 정당 프레임이 영향력을 보이는 양상입니다.
3) 제3지대·무당층
개혁신당·조국혁신당은 한 자릿수 내에서 미세한 경쟁 구도, 무당층은 한 자릿수 후반대로 유지되어 스윙 여지가 남습니다.
4) 전략 시사점
- 여당: 국정 성과와 정당 메시지의 재결합이 필요.
- 야당: 보합 국면 돌파를 위한 어젠다 선점·리더십 관리가 관건.
- 스윙층: 생활밀착 이슈(물가·주거·일자리)로 접점 확장.
⑤ 조사 개요
조사기간: 2025.9.1~9.5
표본: 전국 만 18세 이상 n=2,519
방식: ARS 등 유·무선 RDD
응답률: 4.7%
표본오차: ±2.0%p(95% 신뢰수준)
결과: 긍정 56.0%, 부정 39.2%, 모름 4.8%
조사기간: 2025.9.4~9.5
표본: n=1,005
방식: ARS
응답률: 4.2%
표본오차: ±3.1%p(95% 신뢰수준)
결과: 민주 44.6%, 국힘 36.2%, 개혁신당 4.5%, 조국혁신당 2.7%, 무당층 8.6%
⑥ 이미지 갤러리


⑦ 법적 고지
함께 생각해 볼 질문
- 국정 지지 상승과 정당 지지 조정의 ‘디커플링’은 단기 현상일까요, 구조적 구도일까요?
- 무당층(약 8~9%)을 선점하기 위한 여야의 최우선 정책 메시지는 무엇이어야 할까요?
- 다음 주 조사에서 격차가 재확대/재축소될 가능성을 높이는 변수는 무엇일까요?
'세널리 정치 > 정국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 긍정 63% 재상승, 민주 41%·국힘 24%… 9월 1주차 주간여론분석(갤럽)” (0) | 2025.09.05 |
---|---|
이재명 대통령 국정지지도 반등 62%(+5%p) - NBS 9월 1주차 주간여론분석 (0) | 2025.09.04 |
“이재명 대통령 지지도 반등, 정당 지지도 변화는 제한적 – 리얼미터 8월 4주차 주간여론분석” (0) | 2025.09.01 |
“이재명 대통령 지지도 반등, 정당 지지도 변화는 제한적 – 리얼미터 8월 4주차 주간여론분석” (0) | 2025.09.01 |
이재명 대통령 반등(+3%p) 세널리 주간여론분석 – 한국갤럽 2025년 8월 4주차 (8/26~28 조사) (0)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