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사설분석 – 6대 일간지 8편 – 2025-09-18 본문

세널리 정치/사설 분석

사설분석 – 6대 일간지 8편 – 2025-09-18

세널리 2025. 9. 18. 05:48
반응형
사설분석 – 6대 일간지 8편 – 2025-09-18

세널리 사설분석 — 6대 일간지 8편 (2025-09-18)

* 오늘자·전일 저녁 게시 포함. 인용과 수치는 각 신문 사설 및 공식 자료를 교차 확인합니다.

인트로

오늘은 정치·사법(권력–사법 갈등, 속기록 논란), 대외·안보(유엔 보고서·가자), 경제·산업(한·미 관세협상), 민생·보안(롯데카드 해킹), 금융정책(취약층·시장원리)까지 8편을 교차 배치했습니다. 각 항목은 사설 제목 → 핵심 주장 → 주요 논거 → 시사점(단기·중기) 순으로 정리했으며, ③단계 규칙(CTA·갤러리·freezone·키워드)도 반영했습니다.

히어로 이미지(사설분석 대표 이미지)

권성동의원

오늘 다룰 8편

① [한겨레] 권성동·한학자 조사로 국힘-통일교 유착 의혹 밝혀야

원문:

핵심 주장 — 정치–종교 유착 의혹을 전면 규명하고, 특검·사법 처리와 별개로 정치권 책임성을 복원해야 한다.
  • 권성동 구속을 계기로 통일교 관련 자금·청탁 정황에 대한 수사 확대 필요
  • 대선·전당대회 국면과 맞물린 정치자금 의혹의 공공성 훼손
  • 여야 불문 로비·자금 투명성 제고, 제도 보완 촉구
  • 특검·감사 병행 등 진상규명 장치 요구

시사점·단기 수사 공개 범위·피의사실 공표 공방 심화
시사점·중기 정치자금·종교단체 로비 규제 정비

② [한겨레] 유엔 “이스라엘, 가자 집단살해”, 우리도 폭주 제동 나서야

원문:

핵심 주장 — 유엔 조사결과를 엄중히 받아들이고, 한국도 국제인권 기준에 부합하는 대외 메시지·행보를 보일 것.
  • 유엔 독립조사위의 집단살해 판단 요지 및 기간 범위
  • 인도주의 위기 심화와 국제사회의 제재·압박 논의 확대
  • 한국의 규범외교·무기수출 심사 일관성 요구
  • 대외 메시지 거버넌스의 원칙 명확화

시사점·단기 외교부 입장 표명·인도지원 검토
시사점·중기 무기수출 심사 강화·국제인권 기준 준거

③ [경향] 한미 관세협상 난항, 최악 상황과 플랜B도 대비해야

원문:

핵심 주장 — 협상 교착이 길수록 비용이 커진다. 최악 시나리오와 플랜B(공급망·시장 다변화)를 병행 준비해야 한다.
  • 일본산 15% vs 한국산 25% 관세로 車 가격경쟁력 훼손
  • 철강·알루미늄 등 ‘관세 무기화’ 확대 조짐
  • 반도체·의약품 등 핵심 품목 압박 리스크
  • 타결 지연에 따른 환율·물가·투자 지연 파급

시사점·단기 수출가격·프로모션 재조정, 현지 인센티브 재협상
시사점·중기 현지투자 구조 재설계·공급망 다변화

④ [경향] 이화영 수사 ‘술·회 파티’ 했다니, 검찰권 남용·은폐 엄벌하라

원문:

핵심 주장 — 조사실 내 음주·식사 정황은 중대한 절차 위반. 철저한 감찰과 지휘라인 문책이 필요하다.
  • 법무부 감찰 지시 및 기존 조사와 상충하는 정황
  • 회유·조작·은폐 의혹으로 사법 신뢰 훼손
  • 접견·기록 관리 SOP 개선 필요
  • 공개 검증·증거기록 투명성 요구

시사점·단기 감찰 결과 공개·징계·수사 병행
시사점·중기 조사실 보안·접견·기록관리 제도개선

⑤ [조선] 집권당이 대법원장 겁박 위해 ‘가짜 뉴스’ 퍼트렸나

원문:

핵심 주장 — 사실검증 없는 의혹 확산은 사법 신뢰를 해친다. 정치권은 사법부 독립을 존중해야 한다.
  • ‘비밀회동설’ 등 근거 빈약 논란
  • 가짜뉴스 프레임의 정치적 남용 경계
  • 사법부 흔들기 비판과 정쟁 장기화 우려
  • 증거 중심의 검증·책임 규범 필요

시사점·단기 여야 공방·청문 요구 고조
시사점·중기 사법개혁 의제·정치 커뮤니케이션 규범 재정비

⑥ [동아] “롯데카드 해킹 규모 SKT 20배”… 17일간 몰랐던 것도 한심

원문:

핵심 주장 — 유출 규모와 탐지 지연은 금융보안 거버넌스 실패. 전면 점검과 규제·내부통제 업그레이드가 시급하다.
  • 유출 추정 최대 200GB, SKT 9.8GB 대비 20배+
  • 피해자 규모 ‘수만→수백만’ 가능성
  • 해킹 시작~신고까지 17일 공백
  • 금감원·사측 대응의 적시성 논란

시사점·단기 통합경보·피해 최소화 가이드, 카드·통신 연계 점검
시사점·중기 레질리언스 지표·보안투자 의무화

⑦ [중앙] 금융 취약층 보호도 시장 원리 흔들지 말고 해야

원문:

핵심 주장 — 포용금융은 필요하되 금리·가격기능 왜곡은 최소화. 재정·보증 중심의 정공법을 택하라.
  • 신용사면자 33% 재연체 통계 인용
  • 금리는 위험 반영 가격, 직접 개입의 부작용 경계
  • 국제 기조도 ‘포용+시장원리’ 병행
  • 취약층 자립 기반 강화 설계 필요

시사점·단기 보증·채무조정 프로그램 성과 점검
시사점·중기 맞춤형 신용회복·취업 연동형 지원 설계

⑧ [한국일보] 속기록 삭제 논란 강유정, ‘대통령의 입’에 걸맞은 처신을

원문:

핵심 주장 — 대변인 발언·속기록은 공공기록 신뢰의 핵심. SOP에 따라 투명하고 일관되게 관리해야 한다.
  • 브리핑 속기록 수정·삭제 논란과 대응 방식의 문제
  • ‘대통령의 입’ 위상에 걸맞는 책임성과 품질관리
  • 기록물 관리의 법·제도 기준 정비
  • 정치 쟁점화에 따른 혼선 최소화

시사점·단기 속기록 표준·변경 이력 공개
시사점·중기 공보 품질관리·교육 제도화

갤러리 이미지 1(교체 예정)
갤러리 이미지 2(교체 예정)

조희대 대법원장/강유정 대변인

세널리 인사이트

  1. 거버넌스 — ‘속기록·사법·수사’ 이슈는 모두 절차의 신뢰로 수렴한다. 기록·증거·검증의 규범을 먼저 세워야 정치적 비용이 줄어든다.
  2. 경제안보 — 한·미 관세 난항은 개별 업종을 넘어 물가·환율·투자까지 연쇄한다. 플랜B는 산업·금융 패키지로 준비해야 실효가 난다.
  3. 디지털 리스크 — 카드·통신 대형 유출은 ‘탐지 지연’이 피해를 키웠다. 레질리언스 지표통합경보가 새 기본이 되어야 한다.
세널리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

자유 편집용 이미지(선택)

* 모든 링크는 새 창으로 열리며, 일부 원문은 접근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 2025 세널리 · 본 분석은 공개 자료 및 각 신문 사설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