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조희대, 배임죄 폐지, 형법 355조, 지배구조, 소수주주 보호, 교사 정치활동 - 세널리 사설분석 – 2025-10-01 본문

세널리 정치/사설 분석

조희대, 배임죄 폐지, 형법 355조, 지배구조, 소수주주 보호, 교사 정치활동 - 세널리 사설분석 – 2025-10-01

세널리 2025. 10. 1. 01:00
반응형
세널리 사설분석 – 2025-10-01
세널리 사설분석 – 2025-10-01
구성: 사설 제목 → 핵심 주장 → 논거 정리 → 시사점 · 링크는 새 창
오늘의 사설분석 대표 이미지(사용자 교체)
*

1) 한겨레 – [사설] 당정 배임죄 폐지, 처벌 공백 없도록 보완책 마련해야

핵심 배임죄 폐지·축소 논의 시 형사억지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정교한 보완책이 선행되어야 하며, 지배구조·소수주주 보호 약화는 피해야 한다.

주요 논거

  • 과도한 적용 폐해 인정하되, 자기거래·회사기회 유용 등은 강한 억지 필요
  • 상법·자본시장법·대표소송 등 민사적 장치만으로 충분한지 검토 필요
  • 해외도 형사·민사 혼합형으로 기업범죄 대응 사례 다수
  • 경영판단 원칙 명문화와 비례성 보완이 대안

시사점

  • 단기(1~2주): 정부·여당 로드맵 공개, 대체 구성요건 윤곽 요구
  • 중기(분기): 상법·자본시장법·특경법 패키지 정비 필요, 지배구조 할인 변동

팩트체크 요소

  • 형법 제355·356조 개정안 비교 [링크 추가 예정]
  • 해외 대체 프레임(미국 securities/mail/wire fraud) [링크 추가 예정]

2) 경향신문 – [사설] 조희대 대법원장, 언제까지 ‘대선 개입 의혹’ 입 닫을 건가

핵심 사법 신뢰 회복을 위해 명확한 해명책임 있는 소통이 필요. 청문회·후속 절차에서 사실관계 공개가 쟁점의 정파화를 줄인다.

주요 논거

  • 사법부의 중립·독립은 핵심 자산, 의혹 방치는 신뢰 훼손
  • 비공개·불출석 등은 국회 통제 약화로 비칠 소지
  • 제도적 설명책임은 사법부 스스로 이행해야

시사점

  • 단기: 법원행정처 타임라인·설명자료 공개 요구
  • 중기: 고위법관 인사·검증의 사전 투명성 강화 논의

팩트체크 요소

  • 청문회 실제 진행 경과 및 국회법 관련 조항
  • 과거 대법원장·헌재소장 사례 비교 [링크 추가 예정]

3) 조선일보 – [사설] 교사 정치 활동 허용, 교실서 편향 교육 땐 엄벌해야

핵심 일부 정치활동 허용 논의가 있더라도, 교실 중립성 침해와 학생 대상 정치화강력 제재해야 한다는 관점.

주요 논거

  • 교실은 권력 비대칭 환경, 일반 표현의 자유와 별도 기준 필요
  • 현장 편향 사례 보고 및 교실 밖/수업 경계 불명확 우려
  • 포괄 허용 시 정파 갈등의 상시화 가능

시사점

  • 단기: 허용 범위·금지행위 명료화(정당 가입/후원/선거운동 등)
  • 중기: 옴부즈맨·신고보호, 교원윤리·연수 강화

팩트체크 요소

  • 국가공무원법 제65조, 공직선거법 제9조 등 적용 범위
  • OECD/EU 교원 정치활동 규제 비교 [링크 추가 예정]

4) 중앙일보 – [사설] 쟁점 법안 일방적 강행 처리 후폭풍은 어떡할 건가

핵심 숙의 없는 강행이 누적되면 정책의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고 사회적 비용이 커진다. 절차적 정당성이 정책 지속성의 전제.

주요 논거

  • 신속처리·패키지 처리 관행이 이해조정·영향평가 약화
  • 사법·노동·교육 등 장기 규범은 합의가 핵심
  • 롤백·소송·지침 충돌로 집행효과 반감

시사점

  • 단기: 쟁점 법안 공청·영향평가 일정 공개
  • 중기: 국회법 개정(숙려기간·영향평가 의무화) 논의

팩트체크 요소

  • 최근 강행 법안 표결·상임위 경과 데이터 [링크 추가 예정]
  • 시행 후 집행지연·소송 사례 [링크 추가 예정]

5) 동아일보 – [사설] 美 “제1 도련선이 중심축” 주한미군 역할 변화는 불가피

핵심 인도·태평양 전략 강화 국면에서 주한미군의 역할·임무가 동맹 네트워크 차원으로 재설정될 가능성. 한국은 억지태세·후방지속 현대화가 필요.

주요 논거

  • 다중억지·동맹 네트워크 속 지리·C4ISR 자산 가치 상승
  • 북핵·미사일 고도화와 회피전술 대응 필요
  • 확장억제·한미일 공조 심화

시사점

  • 단기: 연합훈련 시나리오 조정, MD·대잠 보강 논의
  • 중기: 기지 현대화·물류·예비전력 개선, 방산·우주·통신 수요 증가

팩트체크 요소

  • 미 국방전략·NDAA 문구, EDSCG 결과 [링크 추가 예정]
  • 제1/2도련선 개념 공식/반공식 정의 [링크 추가 예정]

6) 한국일보 – [사설] 조희대 없는 조희대 청문회 사법개혁 스스로 훼손한 與

핵심 대상자 부재 청문회는 제도 취지 훼손과 책임 회피로 비칠 수 있음. 사법개혁의 정치화를 멈추고, 절차·내용 모두 성실히 응해야 한다는 주장.

주요 논거

  • 국민적 관심 사안일수록 공개 검증 필요
  • 청문회 파행은 사법 신뢰·여야 협치에 악영향
  • 정치공방 최소화와 사실관계 규명 병행 필요

시사점

  • 단기: 여야 합의 하 재출석·자료 제출 재조정
  • 중기: 고위직 인사검증 표준 프로토콜 마련

팩트체크 요소

  • 인사청문 관련 법령, 실제 불출석 경위
  • 과거 ‘불출석 청문회’ 전례·평가 [링크 추가 예정]
관련 이미지 #1(사용자 교체)
국민의힘
관련 이미지 #2(사용자 교체)
더불어민주당
세널리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

자유 편집용 이미지(선택)

* 환절기 감기조심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