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세널리 국정리포트] AI 예산, 미래로 가는 첫 번째 도약 – 이재명 대통령 시정연설 분석 본문

세널리 정치/국정리포트

[세널리 국정리포트] AI 예산, 미래로 가는 첫 번째 도약 – 이재명 대통령 시정연설 분석

세널리 2025. 11. 4. 13:01
반응형
AI 예산, 미래로 가는 첫 번째 도약 – 이재명 대통령 시정연설 분석

AI 예산, 미래로 가는 첫 번째 도약 – 이재명 대통령 시정연설 분석

이재명 대통령 국회 시정연설 장면

이재명 대통령의 첫 시정연설은 “AI 예산으로 미래로 나아가는 첫 도약”이었다. 텍스트마이닝 분석 결과, 연설은 인공지능, 민생, 외교, 균형발전의 4대 키워드가 전체 문맥을 이끌며 ‘AI 시대의 국가 전략’을 중심축으로 하고 있었다. 연설문 1만6천여 자 속 단어 43회 등장한 ‘인공지능’은 경제·국방·복지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정부 비전의 상징어로 자리잡았다.

Ⅰ. 키워드 분석: 인공지능과 국민, 예산의 삼각 구도

시정연설 키워드 분석 그래픽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인공지능(43회)’, ‘예산(28회)’, ‘국민(25회)’이었다. 세 단어는 각각 ‘정책 방향–재정 도구–정치적 주체’를 상징한다. 정부가 제시한 2026년 예산안은 “AI 시대의 첫 번째 예산”으로 규정됐으며, 단순한 재정계획이 아닌 국가 디지털 전환의 선언문 성격을 띠었다.

그 외 ‘성장’, ‘경제’, ‘균형발전’, ‘국방’, ‘청년’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를 보여, 경제와 기술, 안보를 아우르는 종합정책 담론으로 구성됐음을 보여준다.

Ⅱ. 주제 클러스터: AI·민생·외교·지역 균형

  • ① AI·미래전환: 인공지능, 성장, 산업, 투자, 인프라, 인재양성
  • ② 민생·복지: 취약계층, 생계급여, 장애인, 청년저축, 어르신돌봄
  • ③ 외교·안보: APEC, 한미·한중 회담, 자주국방, END 이니셔티브
  • ④ 균형발전: 지방우대, 5극3특 구상, 농어촌 기본소득

연설은 기술·경제·복지·외교가 균형을 이루는 다층적 구조였다. ‘AI 대전환’과 ‘민생 회복’, ‘실용외교’와 ‘지역균형’은 서로 연결되어 ‘포용적 성장’이라는 하나의 정치 메시지로 수렴된다.

Ⅲ. 감성 흐름: 위기에서 기회로

감성분석 결과, 긍정어 68%, 중립 23%, 부정 9%로 집계되었다. ‘위기’와 ‘격차’가 언급되지만 대부분 ‘극복’, ‘도약’, ‘기회’로 전환되는 서사다. 즉, 대통령 연설의 정조는 “실용적 낙관주의”라 할 수 있다.

이는 “한 세대가 뒤처진다”는 경고와 “AI 고속도로를 깔겠다”는 선언이 교차하는 구조로, 한국형 기술국가 담론의 서사적 리듬을 드러낸다.

Ⅳ. 핵심 문장 Top 5

  1. “정부가 마련한 2026년 예산안은 바로 인공지능 시대를 여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예산입니다.”
  2. “인공지능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지게 됩니다.”
  3. “자주국방의 토대를 더욱 튼튼하게 다지고 미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 “국민 모두가 생계와 생명의 위기 앞에 홀로 남겨지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5. “대한민국의 새로운 백년을 준비하는 역사적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Ⅴ. 세널리 인사이트

🗨️ “AI 예산은 기술혁신을 넘어 정치적 서사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정부가 제시한 AI 대전환은 단순한 산업정책이 아닌 국가 정체성 재구성의 담론이다.

🗨️ “민생·복지의 언어는 과학기술의 언어와 결합했다.”
청년저축, 교통패스, 지역상품권 같은 구체적 예산항목이 ‘포용적 기술국가’ 모델로 통합됐다.

🗨️ “연설의 감정선은 위기-도전-희망의 3단 서사로 구성.”
이재명 정부의 첫 예산은 위기관리와 미래준비를 동시에 추구하는 실용주의적 포지션으로 읽힌다.

세널리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

자유 편집용 이미지(선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