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11/07/29 (3)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노동중리에 위치한 사천한과마을. 사천한과는 어느덧 56여년째 그 맛을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진정한 전통과 맛을 이어가야 한다는 생각, 이것이 바로 사천한과의 마음이다. 사천면 노동중리 한과마을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한과를 만드는 마을로 널리 알려져있는 곳 입니다. 황병산의 기상이 동해의 맑은 바닷물로 흘러드는 곳, 그곳에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강릉사천한과가 있다.
안목은 원래 앞목이었다고 한다. 마을 앞에 있는 길목이란 뜻이다. 일본인들이 앞목을 발음하기 어렵다고 해서 안목으로 고쳐부른 것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풍어제는 3월 3일, 9월 9일에 지낸다. 강릉 시내의 젖줄인 남대천 하류에 위치한 항구이며, 90여가구 어민이 어업에 종사하고 있고 주어종은 가자미이며, 길고 너른 해변은 봄철 황어잡이 낚시동호인들이 즐겨찾는 곳이다. 남대천의 큰 물줄기와 거대한 동해의 파도가 맞부딪쳐 힘겨루기를 하며 그 너머로는 푸른해송과 백사장은 한폭의 아름다운 풍경화를 보는 듯 하다.
강원도 강릉시 명주군 삼산리(三山里)에 있는 명승지. 오대산 동쪽 기슭에 있다. 예로부터 강릉소금강 또는 명주소금강으로 불릴 만큼 경관이 빼어나 1970년 명승지 제1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오대산국립공원에 속해 있으며 국립공원 전체 면적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청학동소금강 또는 연곡소금강이라고도 하며 오대산국립공원에 편입된 뒤로는 오대산소금강이라고도 한다. 소금강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학자 율곡 이이(李珥)의 《청학산기(靑鶴山記)》에서 유래한 것으로, 빼어난 산세가 마치 금강산을 축소해 놓은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소금강 내의 유일한 사찰인 금강사(金剛寺) 앞 영춘대에는 율곡이 직접 쓴 '소금강'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다. 무릉계(武陵溪)를 경계로 하류 쪽을 외소금강, 상류 쪽을 내소금강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