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널리 주간여론분석 · NBS 10월 5주(제167호)
국정 긍정 56%… 민주 39%·국힘 25% — 현안 ‘거래세↓·보유세↑’ 찬성 52%
직전 조사(10월 4주) 대비: 국정 긍정 –1%p, 민주 –2%p, 국힘 +3%p → 격차 14%p로 축소.
*NBS 공식 차트


인트로
NBS 전국지표조사 제167호(10월 5주) 결과다. 국정운영 평가는 긍정 56%(–1%p), 부정 35%(+1%p)로 보합권에서의 미세 조정이 나타났다.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39%(–2%p), 국민의힘 25%(+3%p)로 격차가 14%p까지 축소됐다. 이번 주 현안으로 제시된 ‘거래세 인하·보유세 인상’은 찬성 52% : 반대 36%로 순찬성 +16%p를 기록했다.
요약 표(직전 대비)
| 항목 | 10월 4주 | 10월 5주 | 변화 |
|---|---|---|---|
| 국정 긍정 | 57 | 56 | –1 |
| 국정 부정 | 34 | 35 | +1 |
| 더불어민주당 | 41 | 39 | –2 |
| 국민의힘 | 22 | 25 | +3 |
| 양당 격차 | 19%p | 14%p | –5%p |
| 현안(거래세↓·보유세↑) | — | 찬성 52 / 반대 36 | — |
1) 국정운영평가
- 전체: 긍정 56%(–1%p), 부정 35%(+1%p).
- 연령: 40대 75%, 50대 72%로 높고, 70대+ 46%로 낮음.
- 지역: 광주·전라 86% ≫ 서울 54%, 인천·경기 61%, 부산·울산·경남 63%.
- 이념/정당: 진보 95%, 민주 지지층 95%에서 매우 높고, 보수 51%, 국힘 지지층 55%.
- 해석: 핵심 지지 기반 결집 유지 속 미세 조정. 긍정 우위 국면 지속.
2) 정당지지도
- 전체: 민주 39%(–2%p), 국힘 25%(+3%p),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3%, 무당층 24%.
- 연령: 18~29세 무당층 47%로 높음. 60~69세 국힘 37% 상대적 강세.
- 지역: 광주·전라 민주 63%, 대구·경북 국힘 37% 등 전통 벨트 유지.
- 평가: 민주 고점 조정–국힘 저점 반등으로 격차 14%p. 무당층이 캐스팅보트.
3) 현안 집중 — ‘거래세 인하 · 보유세 인상’ 찬반
전체 찬성 52% vs 반대 36% (모름 12%). 중도·1주택자·40~50대가 찬성을 견인, 보수·국힘 지지층·70대+는 반대 경향.
세부 분포(발췌)
- 연령: 40대 63/31, 50대 63/31, 70대+ 37/45.
- 지역: 광주·전라 64/24, 서울 53/37, 인천·경기 54/35, 강원·제주 모름 26%.
- 정당지지: 민주 71/19 찬성, 국힘 33/58 반대, 조혁 78/22 찬성, 개혁 50/47.
- 이념: 진보 73/22 찬성, 보수 40/53 반대, 중도 52/37 찬성.
- 경제계층 인식: 중위 58/34, 상위 49/43, 하위 51/35.
- 주택 소유: 무주택 46/34, 1주택 57/35, 2주택+ 49/45.
- 1년 내 이사 가능성: 가능 53/36, 불가능 51/36.
해석 및 함의
- ‘거래 활성화’ 기대가 있는 실수요·이동성 높은 층에서 긍정적.
- 보수·고령층은 보유세 증가 민감도 탓에 반대 집결.
- 메시지 설계 시 1주택·중도·중위소득층에 초점 필요.
4) 여론 흐름 해석 & 시사점
- 국정평가: 긍정 우위 방어선 유지(56:35). 코어 결집 지속.
- 정당구도: 민주 조정–국힘 반등으로 격차 14%p. 무당층 24% 관찰 포인트.
- 정책현안: ‘거래세↓·보유세↑’는 균형형 세제로 중도층 우호. 다만 고령·보수층 반발 관리 필요.
- 다음 주 체크리스트: ① 국힘 반등 지속성 ② 민주 조정폭 확대 여부 ③ 세제 커뮤니케이션의 중도층 영향.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
세널리와 함께 보기
※ 본 글은 NBS 전국지표조사 제167호(2025년 10월 5주)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입니다. 응답률은 16.7%였습니다.조사 개요, 표본오차, 조사기관 등 자세한 사항은 NBS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론조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