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한덕수 단일화 전망과 과제
2025년 5월 3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되면서,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논의가 정치권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일화의 배경, 양측의 입장, 주요 쟁점, 그리고 향후 전망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단일화의 배경
- 김문수 후보의 경선 승리: 김문수 후보는 당원 투표에서 61.25%, 여론조사에서 51.81%를 얻으며 최종 득표율 56.53%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습니다.
- 한덕수 후보의 출마 선언: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5월 2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취임 첫 해 개헌안 마련, 2년 차에 개헌 완료,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 |
![]() |
2. 양측의 입장
- 김문수 후보: 김 후보는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며, "이재명 민주당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라면 어떠한 세력과도 강력한 연대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한덕수 후보: 한 후보는 김 후보와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두며, "김문수와 협력, 또 다른 여정 기대"라고 언급했습니다.
3. 주요 쟁점
- 단일화 시한: 선거 공보물 발주 시한인 5월 7일 정오와 후보 등록 마감일인 5월 11일이 단일화의 데드라인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 단일화 방식: 단일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아직 진행 중이며, 여론조사나 협상 등을 통한 방식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 단일화 효과: 양측의 이미지와 지지층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단일화의 시너지 효과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 결집이냐, 분열이냐
단일화 협상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에 맞서 보수 진영의 결집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협상이 결렬될 경우 보수 표의 분산으로 이어질 수 있어, 단일화의 성패가 대선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한덕수의 사퇴와 출마…보수의 구원투수냐, 자중지란이냐?
[보수의 분수령] 한덕수의 사퇴와 출마…보수의 구원투수냐, 자중지란이냐2025년 5월 1일,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이 전격 사퇴하며 대선 출마를 공식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보수 진영의 잠룡
gnhong.com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수락연설문 분석[전문]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수락연설문 분석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김 후보는 종합 득표율 56.53%로 한동
gnhong.com
한덕수의 사퇴와 출마…보수의 구원투수냐, 자중지란이냐?
[보수의 분수령] 한덕수의 사퇴와 출마…보수의 구원투수냐, 자중지란이냐2025년 5월 1일,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이 전격 사퇴하며 대선 출마를 공식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보수 진영의 잠룡
gnhong.com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심층 분석 : 과감한 전환형 정치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심층 분석1. 비전 (Vision)이재명 후보는 “진짜 국민 주권 실현”과 “기회가 공정한 나라”를 비전으로 제시합니다.국민이 직접 주인 되는 민주주의 - 국민참여
gnhong.com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소개 및 주요 공약 : 시련을 넘어 진짜 대한민국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소개 및 주요 공약이재명(李在明, 1964년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현재 더불어민주당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입니다.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를 역임하며
gnhong.com
'정치평론 > 2025대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3일 실시하는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권자 개표참관인 신청안내 (0) | 2025.05.05 |
---|---|
[대선 분석]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등록 일주일 전 중요한 변수는? (1) | 2025.05.04 |
이재명 공직선거법 파기환송 그리고 조희대 대법원장 및 대법원 불공정 논란과 전망 (0) | 2025.05.03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수락연설문 분석[전문] (2) | 2025.05.03 |
한덕수 “3년 대통령 하겠다” 대선 출마 선언 : 임기 단축형 개헌 승부수 (1)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