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불안한 청춘 – 정신건강 위기와 자살률, 청년이 병들고 있다 본문

세널리 정치/통계로 본 한국사회

불안한 청춘 – 정신건강 위기와 자살률, 청년이 병들고 있다

세널리 2025. 8. 11. 00:39
반응형

<!doctype html>

불안한 청춘 – 정신건강 위기와 자살률, 청년이 병들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자주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세대는 바로 청년층이다. 청년 자살률은 해마다 상승하고 있다. 2023년 기준 20대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2.4명, 30대는 25.1명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OECD 평균의 2배 이상이며, 자살이 사망 원인 1위라는 사실은 더 이상 단순한 우려가 아닌 구조적 위기다.

 

청년 자살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취업난과 불안정한 노동, 고립된 인간관계, 그리고 비교의식과 박탈감이 공존하는 디지털 사회의 특성이 얽혀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청년층의 우울증 진단 건수는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여성 청년의 증가세는 남성보다 가파르며, 대학생과 취업준비생 그룹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3년 체감실업률은 22.2%에 달했으며, 많은 청년들이 취업 준비에만 수년을 허비한 채 자존감 상실, 가족과의 갈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단지 대한민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유독 한국 청년의 절망감은 수치로도, 감정으로도 깊다. 한국은 위기 대응 체계는 마련되어 있으나 예방과 장기적 지원 체계가 미비하다. 일본은 고교 단계부터 자살 예방 전담 센터를 운영하며, 캐나다는 고등학교와 대학에 정신건강 상담을 의무화한다. 독일은 청년층 우울증을 ‘공공 정신건강 이슈’로 다루며, 진료비의 80% 이상을 사회보험에서 부담한다.

 

정부는 2024년 ‘청년 마음건강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상담 지원과 고위험군 개입을 위한 ‘청년심리지원 바우처’ 제도를 시행 중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신청 절차의 복잡성, 제한된 이용횟수, 서비스 기관 간 연계 부족이 지적된다. 정책이 존재하더라도 실제 고통 속의 청년에게 닿지 못한다면 실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자살은 개인의 선택이 아니다. 그것은 사회적 압력과 구조적 무관심이 결합된 끝에서 터지는 신호다. 청년의 고통은 이제 국가적 대응을 요하는 총체적 위기다. 청년 정신건강을 위한 통합 대책과 공공투자 확대, 진료 접근성 향상, 지역사회 기반의 조기 개입 시스템이 시급하다.

정신건강은 개인의 나약함이 아니라 사회의 책임이다. 청년의 병든 마음을 외면하는 사회는 지속가능성을 잃게 된다. 이제는 청년의 절규에 사회가 응답해야 한다. 건강한 청년 없이는 건강한 국가도 없다. 그리고 그 청년의 마음이 지금 병들어 있다는 사실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