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이민의 시대 – 외국인 주민 300만, 대한민국의 선택은? 본문

세널리 정치/통계로 본 한국사회

이민의 시대 – 외국인 주민 300만, 대한민국의 선택은?

세널리 2025. 8. 17. 14:37
반응형

 

다문화 사회 통계로 본 한국사회

이민의 시대 – 외국인 주민 300만, 대한민국의 선택은?

대한민국은 이미 이민사회. 외국인 주민 300만 시대를 맞아 노동·교육·정치·국제비교 측면을 통계로 짚는다.

 

2023년 말 국내 체류 외국인은 256만 명, 주민등록 외국인까지 합하면 300만 명에 이른다. 전체 인구의 6%에 해당하며, 이미 ‘이민 사회’로의 전환이 현실화된 셈이다.

 

노동시장에선 농축산·제조·건설·식품가공업 등에서 외국인 노동자 비중이 50%를 넘어섰다. 청년 실업률은 여전히 7% 내외지만, 내국인이 기피하는 일자리를 외국인이 채우며 구조적 의존도가 고착화되고 있다.

 

교육 현장도 달라지고 있다. 다문화 학생은 약 19만 명(전체 학생의 3.5%), 일부 농촌학교는 30%를 넘는다. 그러나 언어 교육·학습 지원·문화 적응 정책은 여전히 부족하다.

 

정치적 갈등도 있다. 일부 정치세력은 이민과 다문화를 ‘혐오 프레임’으로 활용한다. 반면 독일·캐나다 등은 이민을 국가 전략 차원에서 설계하고 있으며, 일본도 고급 인력 중심으로 이민을 확대 중이다.


📌 준비된 이민국가로 가기 위한 4가지 과제

  • 통계 시스템 통합 및 정례화
  • 지역 거버넌스 강화
  • 혐오 대응 및 공존 교육 제도화
  • 정치권의 장기 이민전략 로드맵 수립

세널리: 구독, 좋아요, 댓글을 환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