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라

요약|한국사회는 디지털 젠더 폭력에 안전한가? 본문

세널리 정치/통계로 본 한국사회

요약|한국사회는 디지털 젠더 폭력에 안전한가?

세널리 2025. 9. 4. 02:15
반응형
요약|한국사회는 디지털 젠더 폭력에 안전한가?
외부기고 요약 통계로 본 한국사회

요약|한국사회는 디지털 젠더 폭력에 안전한가?

AI 딥페이크, 불법촬영, 온라인 스토킹… 통계가 보여주는 디지털 젠더 폭력의 실태

디지털 기술은 편리함과 생산성을 제공했지만, 여성에게 새로운 폭력 양식을 만들어냈다. AI 기반 딥페이크, 불법 촬영물 유포, 온라인 스토킹은 '디지털 젠더 폭력'으로 불리며, 한국은 이 문제의 최전선에 서 있다.

2025년 UNDP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의 35.8%가 생애 한 번 이상 폭력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이는 2021년 대비 0.9%포인트 상승한 수치다(UNDP).

2023년 파일 삭제 건수는 24만 3,855건에 달했고, 미성년 피해자도 159명 확인됐다(ISDP).

특히 2024년 불과 40일 동안 딥페이크 피해 신고는 513건에 달해 전년 대비 70% 증가했다(The Guardian).

경찰과 사법체계 대응은 여전히 부족하다. 딥페이크 제작·소유를 처벌 대상으로 포함했지만 집행력과 피해자 보호 시스템은 허점이 많다는 지적이 제기된다(AP News).

“기술의 발전 속도만큼 사회 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하면, 여성의 안전은 디지털 공간에서도 보장되지 않는다.”

📌 정책 제안

  • 디지털 성범죄 통계 정례화 및 공개
  • 원스톱 피해자 지원센터 확대
  • 플랫폼 기업의 삭제 의무 강화
  • 미디어 리터러시·합의 문화 교육 강화
  • 예방 중심 정책으로 전환

© 통계로 본 한국사회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